본문 바로가기

경제5

기후 위기 부의 대전환 by 홍종호 기후 위기가 바꾼 경제 패러다임 경제 성장은 환경 파괴를 동반해 왔기 때문에 경제는 환경과 대척점에 있었다. 환경이 모든 재화와 서비스 생산의 원천임에도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환경의 중요성이 도외시되었다. 그러나 기후 위기가 현실화되면서 경제 패러다임이 바뀌었고, 자연과 경제 간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는 환경경제학을 통해 기후 위기의 경제적 피해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환경 규제는 경제 성장의 장애물이라는 기업의 논리가 우세하면서 등한시 되왔다. 그러나 기후 위기로 인해 피해를 겪게 되면서 상황이 바뀌고 있다. 대형 투자사들은 기업이 단순히 이윤 창출을 얼마나 잘하는지에 초점을 맞췄으나, 이제는 ESG를 준수하면서 이윤 창출을 얼마나 잘하는지로 투자 원칙을 바꾸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탄소.. 2023. 4. 27.
인플레이션 by 하노 벡, 우르반 바허, 마르코 헤르만 인플레이션의 역사 인플레이션은 화폐의 역사와 함께 했다. 초기 화폐는 돈의 가치에 해당하는 금, 은, 구리 등으로 동전을 주조했다. 그러나 저질 동전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일들이 벌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지폐의 탄생은 20세기 초인플레이션 시대를 열었다. 통화량이 많아지면 당연히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만 정치인들은 지폐를 대량으로 유통하는 것에 대한 유혹을 떨쳐내지 못했다. 2008년 리만 브라더스 발 금융위기 이후, 세계는 10여 년 간 제로 금리를 고수해 왔다. 양적 완화 정책을 바탕으로 미국은 계속해서 달러를 찍어냈지만, 2010년대 인플레이션은 안정적이었다. 자본 시장이 그 돈을 모두 흡수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부동산과 주가가 폭등했고, 자본을 가진 자와 그렇지 못한 자들 간에 빈부격차는.. 2023. 4. 19.
레버리지 by 롭 무어 레버리지할 것인가, 레버리지 당할 것인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내가 레버리지를 하거나 레버리지를 당하거나 두 가지 경우밖에 없다. 레버리지를 할수록 부에 가까워지고, 레버리지를 당할수록 부에서 멀어진다. 사회는 열심히 일한다면 성공한다고 속삭이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 부자가 항상 더 많은 일을 할 것이라는 것은 착각이다. 적극적으로 레버리지하여 내 시간은 핵심 결과 영역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용을 절감한다고 모든 것들을 혼자 하려는 경향이 있으나, 실제로는 그 시간만큼 핵심 결과 영역에 시간을 집중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인의 시급을 따져보고, 그보다 비용이 낮은 일은 레버리지해야 한다. 2023. 1. 15.
돈의 심리학 by 모건 하우절 독립성을 확보하는 방법 『돈의 심리학』의 저자 모건 하우절은 책 후반부에 본인이 어떻게 돈 관리를 하는지 소개하였다. 저자의 경제 목표는 독립성이다. 독립성은 내가 원할 때,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것을 함께 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돈이 많다고 해서 반드시 행복한 것은 아니지만, 내가 독립성을 갖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저자가 독립성을 갖기 위해 선택한 돈 관리 방법은 높은 저축률을 유지하고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이다. 저자가 높은 저축률을 유지하는 이유는 저축한 돈으로 무언가를 사려는 목적보다는 예측불가능한 미래에 독립성을 갖고 싶은 심리 때문이다. 예측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높은 저축률은 투자금을 회수할 필요가 없게 하기 때문에, 금전적 이득이 되기도 한다. 저자가 인.. 2023. 1. 15.
정해진 미래 by 조영태 인구로 본 한국 사회의 미래 한국은 2000년대 초중반부터 매년 40만 명대의 인구가 태어나면서 초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다. 초저출산으로 인해 한국의 미래를 어둡게 평가한다. 현재의 출산율이 지속된다면 2200년에는 한국인은 멸종할 것이라는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의 암울한 예측도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 엄청난 예산을 쏟아부었으나 출산율은 오히려 떨어졌다. 저출산 문제는 교육 인구의 감소를 의미한다. 초중고 교사 1인당 학생수는 이미 OECD 평균에 근접했는데 줄어드는 학생수, 일정하게 충원되고 있는 예비 교사인 교대, 사범대 졸업생 수를 감안한다면 교사 시장은 과잉공급이 우려된다. 그리고 대학가에서 일어나고 있는 대학구조조정도 교육 인구 감소 때문이다. 저출산 문제와 더불어 고령화.. 2022. 6. 1.